시브토시는 기업들이 온체인상에 노출되길 꺼리는 핵심 이유로 ▲거래 전략 ▲급여 데이터 ▲기업 간 계약 등을 꼽으며, 이러한 정보 유출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프라이버시 보존 기술의 발전이 디파이와 기업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있다”며, 사일런트스왑 같은 플랫폼이 이를 해결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디파이 규제의 가장 큰 문제는 ‘관할권별 규제 파편화’라고 지적했다.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통일된 법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DAO(탈중앙화 자율조직)의 책임 소재, 디파이 토큰의 증권성 판단 등이 여전히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시브토시는 “디파이가 가진 자기자산 관리, 속도, 비용 절감 등 본질적 가치를 해치지 않는 합리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상·하원은 최근 디파이 브로커들에게 고객 거래를 국세청(IRS)에 보고하도록 의무화했던 규정을 폐지했다. 상원은 3월 4일 70대 27, 하원은 3월 11일 압도적 표차로 해당 규정을 뒤집었다. 하지만 코인텔레그래프는 여전히 디파이 전반이 과도한 규제에 의해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크립토 투자자 아르템 톨카체프(Artem Tolkachev)는 “규제 순응은 디파이의 탈중앙성을 훼손하고, 사용자의 통제를 기관이나 제3자에게 넘겨주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며, 현재 디파이 생태계가 본래의 가치 제안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디파이의 총 예치 자산(TVL)은 여전히 2021~2022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프라이버시 보완과 규제 명확화, 책임 구조 설정이 병행되어야 기관 참여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