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다음 비트코인 강세장의 핵심 촉매? '국가 보유 경쟁'이 시작됐다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4/03 [00:30]

다음 비트코인 강세장의 핵심 촉매? '국가 보유 경쟁'이 시작됐다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5/04/03 [00:30]
비트코인

▲ 비트코인     ©

 

4월 2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더모틀리풀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BTC)의 수요를 이끄는 새로운 흐름이 떠오르고 있다. 바로 ‘국가 단위 비트코인 보유’ 확산 추세다. 이미 여러 정부가 보유 중이며, 일부 국가는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삼기 위해 추가 매입을 고려 중이다. 이 움직임은 장기적으로 공급 부족을 유도하며 가격 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다.

 

현재 미국, 중국, 영국, 우크라이나, 북한, 엘살바도르 등 다수의 국가는 이미 비트코인을 일정량 보유하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범죄 수익 몰수 등의 경로로 획득했지만, 향후에는 전략적 매입도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미국은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SBR)’ 구축 계획이 논의 중이며, 러시아, 체코 등도 유사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더모틀리풀은 이러한 국가 간 경쟁 구도가 비트코인 보유 심리를 자극하며, “정부가 자산을 축적하는 경우 쉽게 매도하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은 줄어들고,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규모 매입은 이후 더 높은 가격에서의 구매 위험을 피하기 위해 조기에 이뤄질 수 있어, 수급 불균형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런 긍정적 흐름이 단기적으로 가격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기관과 정부의 비트코인 축적은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최소 5년, 가능하다면 10년 이상 보유하는 장기 전략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비트코인 반감기(4년 주기) 구조까지 고려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희소성이 더욱 강화되는 구도다.

 

결국, 지금이야말로 ‘국가가 사들이기 전에 먼저 사두는’ 시기라는 것이 더모틀리풀의 주요 메시지다. 글로벌 정세 속에 비트코인이 하나의 전략 자산으로 자리 잡아가는 흐름에서, 장기 투자자는 의미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