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풍' 맞은 해상 무역…물류비 상승 번지나 독일·영국 등 유럽 주요 항만 병목현상에 대기시간 늘어
유럽 지역 주요 항만이 물동량을 제때 처리하지 못해 심한 병목 현상을 보이고 있다. 노동력 부족과 라인강의 낮은 수위가 1차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벌이고 있는 관세전쟁이 해상 물류 분야의 불확실성을 높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 지역 항만 혼란은 미국과 아시아 지역 항만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물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영국 해운컨설팅업체 드루리(Drewry)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독일과 영국 등 유럽 지역 주요 항만의 혼잡이 심해졌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일 브레머하펜 항구의 경우 화물선이 컨테이너를 하역하지 못하고 순서를 기다리는 선석 대기 시간이 3월 말 이후 77% 증가했다. 앤트워프에서도 37%, 함부르크에서도 49% 늘었으며. 로테르담과 영국의 펠릭스토우에서도 대기 시간이 늘어났다. 현장 인력이 부족하고 내륙을 연결하는 라인강의 수위도 낮아져 바지선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 주원인이다. 드루리는 보고서에서 "항만의 혼잡과 처리 지연으로 운송 시간이 길어지고 무역업체들의 재고 계획에 차질이 빚어져 물동량이 늘었다"면서 미·중 (고율) 관세 유예가 8월 14일 만료되기 때문에 그 전에 물량을 보내려는 조기 수요도 있어 항만의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 "유럽뿐 아니라 중국 선전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뉴욕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 4월 말부터 입항을 기다리는 선박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수출입 업체들의 주문이 불안정해지면 항만 혼잡과 이송 기간 증가 등이 겹쳐 전체 물류 비용을 높이게 된다.
세계 5위 컨테이너 선사인 독일 하팍로이드의 롤프 하벤 얀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온라인 세미나에서 "최근 유럽 항만 혼잡이 개선 조짐을 보이고는 있지만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이 되려면 6~8주가 더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중 관세 '휴전'이 2주 전에 시작됐지만 아직 두 나라 간 물류가 크게 늘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다. 아폴로 매니지먼트의 토르스텐 슬로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와 관련 "중국에 대한 30%의 관세가 아직 높은 건지, 아니면 미국 기업들이 관세가 더 내려가길 기다리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다고 밝히면서 수출입 업체들의 혼란은 가중됐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24일 보고서에서 "추가적인 정책 불확실성은 기업들의 지출 결정에 리스크를 더해 글로벌 활동에 제약이 될 것"이라면서 "독일과 아일랜드,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미국 수출 비율을 고려할 때 가장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도 23일 보고서에서 "EU에 대한 50%의 추가 관세는 적용 상품의 대미 수출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감소시켜 EU의 전체 대미 수출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급망 데이터 수집업체 비지온(Vizion) 통계에 따르면 미·중 관세 '휴전' 이후 첫 주간 중국발 미주 노선 컨테이너 예약은 229만 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직전 주(91만) 대비 두 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다만, 한 주 뒤 컨테이너 예약량은 137만 TEU로 다시 내려앉았다. 전문가들은 해운사들이 미·중 관세전쟁 격화 이후 중국발 미주 노선 운항을 감축하면서 컨테이너선 선복량(적재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 됐다고 설명한다. 다만, 무역정책 및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고율 관세 유예 기간 업체들이 중국산 제품 주문량을 다시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