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하 한은)은 22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최근 기관의 암호화폐(가상화폐, 암호자산) 관련 투자가 늘고, 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 미국 달러로 된 금융자산을 보유하는 등 암호화폐와 금융시장 간 연계성이 강해지고 있다"며 암호화폐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주문했다.
스테이블 코인은 기존 법정화폐 가치와 연동된 암호화폐로 자산 담보형과 알고리즘형으로 나뉜다. 전자는 달러 등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해 가치를 담보한다. 후자는 다른 암호화폐와 연동해 발행량을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가치를 유지한다.
한은은 스테이블 코인이 담보하는 달러화 규모가 커지면서 암호화폐와 금융시장 간 접점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인 루나와 테라USD(UST)의 대폭락 사태 등으로 암호화폐의 가격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크게 낮아졌으며, 이는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리스크 요인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스테이블 코인은 예금보험이나 중앙은행의 최종 대부자 기능과 같은 공적 안전장치가 없어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스테이블 코인은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결제 수단으로 이용되는 비중이 커 리스크가 관련 시장 전반으로 파급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탈중앙화금융(DeFi·디파이) 대출 플랫폼을 통한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확대된 가운데 암호화폐 가격이 내려가면 자산이 대거 청산되면서 연쇄적인 하락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도 봤다.
다만 한은은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기관이 암호화폐를 보유할 수 없게 돼 있어 이런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은은 보고서에서 올해 들어 40% 폭락한 암호자산과 관련해 투자자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투자자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 비해 가격 변동성이 큰 기타 암호화폐 이른바 ‘잡코인’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아 투자자 추가 손실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암호화폐의 활용도 및 금융시장과의 접점 확대로 암호화폐의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규제 체계 마련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