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회의론자' 피터시프 소유 푸에르토리코 은행 폐쇄..."BTC 필요성 반증"
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는 "아이러니'하지만 는 비트코인이 전통 금융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고 보도했다.
앞서 피터 시프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은행이 범죄에 연루된 것도 아닌데 푸에르토리코 규제 당국은 내 은행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최소 준비금 요건을 만족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당국은 적격 투자자의 자본 투입을 허용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피터 시프는 "그들은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 전 어떠한 사전공지도 전달하지 않았다. 작은 은행을 운영하려면 돈이 많이 든다. 반대로 은행을 운영하며 한 푼도 벌지 못했다. 규정 준수를 위한 비용이 터무니 없이 높다. 결과적으로 은행 내 계좌들이 동결됐으며 고객들은 돈을 잃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피터 시프는 비트코인 가격이 17.5달러일 때부터 비트코인 회의론자로 이름을 알렸다"면서 "이제는 왜 전통 금융의 대안으로 비트코인이 필요한지 이해할 것"이라 말했다.
미국 자산운용사 거버가와사키(Gerber Kawasaki Wealth)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로스 거버(Ross Gerber)도 이날 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회의론자' 피터 시프(Peter Schiff) 유로퍼시픽캐피털 CEO는 아직도 비트코인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푸에르토리코 규제당국이 피터시프가 운영 중인 현지 은행의 폐업을 명령한 것에 대해 "그의 은행은 탈세 등 범죄에 연루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냐고 묻는 한 트위터 사용자의 질문에 "확실히 비트코인은 가치를 갖고 있다. 다만, 변동성이 심하다"고 말했다.
한편, 유럽 금융감독기구인 유럽 시스템위험위원회(European Systemic Risk Board, ESRB)가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암호화폐가 끼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 및 정책 연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ESRB는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가 금융 시스템에 끼치는 리스크가 어느순간 갑자기 구체화될 수 있다"며 "암호화폐가 금융 시스템에 끼칠 수 있는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련 법적 조치를 내놓는 건 물론, 해당 분야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유럽 및 글로벌 차원의 규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