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美 웰스파고 은행 "디지털자산, 새로운 인터넷의 구성 요소...리스크는 존재"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8/08 [19:21]

美 웰스파고 은행 "디지털자산, 새로운 인터넷의 구성 요소...리스크는 존재"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8/08 [19:21]


미국 4대은행 중 하나인 웰스파고(Wells Fargo)가 최근 '암호화폐의 이해'란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은 인터넷, 자동차, 전기의 발명과 견줄 수 있을만큼 혁신적"이라 진단했다. 

 

8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웰스파고 글로벌 투자전략 팀은 "디지털 자산은 새로운 인터넷의 구성 요소"라며 "디지털 자산의 발전은 새로운 가능성과 투자 기회를 동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오늘날 인터넷이 우체국, 음원 산업, 유선 전화, 지역 뉴스 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돌아보면, 디지털 자산이 구성 요소로 포함된 '가치의 인터넷'이 시장을 어떻게 재구성할 지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디지털 자산 산업은 현재 규제 강화, 기술 및 비즈니스의 실패, 처리 및 보관 등 운영, 가격 변동성, 소비자 보호 미흡 등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세계 3대 투자자 중 한명인 짐 로저스는 최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내 아내는 암호화폐에 투자했지만 나는 투자하지 않았다. 암호화폐 업계는 미래에 암호화폐가 화폐가 될 것이라 전망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가진 모든 돈이 디지털화가 되면 그건 정부의 돈이 될 것이다. 그들은 모든 것을 규제하길 원한다"면서 "암호화폐가 트레이딩 수단일 수는 있지만, 그렇다 해도 나는 트레이딩에 암호화폐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 강조했다. 

 

앞서 그는 "비트코인이 화폐로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면 당국이 간섭을 시작할 것"이라며 "이 때문에 비트코인에 투자하지 않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딜로이트는 최신 연구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 상업용 부동산(CRE) 임대업 및 매매업 프로세스의 50% 이상을 대체할 수 있다"면서 "임차인 수가 많고 임대 기간이 짧은 CRE는 블록체인 기술의 동적 구성 및 공유 기능을 적용하기 가장 적합하다"고 밝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딜로이트는 블록체인 기술 적용의 이점으로 △검색 프로세스 개선 △자산 평가절차 간소화 △캐시플로우 관리 간소화 △자금조달 효율성 제고 △소유권 기록 비용 절감 등을 꼽았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