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 자산조사기관 '후룬연구소'가 발표한 '2020년 후룬 글로벌 유니콘 순위'에 리플, 코인베이스, 비트메인, 크라켄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이 이름을 올렸다. 전세계 유니콘 기업 가운데 블록체인 기업이 차지한 비율은 2% 수준이다.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말한다. 후룬연구소는 총 가치가 1조9000억달러에 달하는 전세계 586개 유니콘 기업을 조사해 순위를 매겼다. 이중 494개 기업이 전년에 이어 올해 명단에도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 '리플(XRP)' 발행업체인 리플사(社)는 작년보다 5계단 오른 23위로 블록체인·암호화폐 기업 중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리플의 기업가치는 작년 50억달러에서 올해 100억달러로 2배 증가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는 기업가치를 80억달러 수준으로 유지했지만 순위는 작년보다 1계단 내려간 31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의 경우 순위가 30계단 상승하며 108위에 올랐다.
또한 세계 채굴장비 제조업체 '비트메인'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은 모두 기업가치를 40억 달러로 평가받아 70위에 자리했다.
다만 비트메인은 작년 120억달러에서 올해 40억달러로 기업가치가 크게 하락함에 따라 '기업가치가 가장 많이 하락한 유니콘' 부문에서 3위를 기록했다. 경쟁업체인 카나안크리에이티브의 경우 'IPO 이후 실적이 저조한 유니콘' 부문에서 4위에 올랐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과 중국은 각각 233개, 227개 유니콘 기업을 보유하며 전체의 79%를 차지하고 있다. 영국, 인도,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각각 24개, 21개, 11개로 3, 4, 5위를 달리고 있다.
한편,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장비 제조업체 '비트메인' 공동창업자 간 경영권 다툼이 내부분쟁을 넘어 회사 외부로까지 번졌다.
지난 6월 암호화폐 미디어 블록비트에 따르면 비트메인 공동창업자 '우지한'과 경영권 다툼을 벌이는 또다른 공동창업자 '잔커퇀'이 최근 중국 광둥성 선전 소재 채굴기 출하 공장을 장악하고, 직원들에게 채굴기 배송을 금지하는 이슈가 불거진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