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발행을 앞두고 글로벌 금융규제기관 안심시키기에 나섰다.
14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전(前) 인민은행 총재 저우 샤오촨는 "페이스북의 디엠(전 리브라)와 달리 디지털 위안화는 미국 달러, 유로화 등 글로벌 법정화폐를 대체할 의도가 없다"고 발언했다. 저우 샤오촨 전 총재는 지난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인민은행 총재를 지냈으며 현재 중국금융협회장을 맡고 있다.
그는 "디지털 위안화는 순전히 국경 간 무역과 투자를 혁신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며 "금융 시장 안정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디지털 위안화 작업을 신중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리브라에 대한 규제 반발을 보면서 규제 당국이 디지털 화폐로 인한 금융체계와 통화 주권 교란을 우려한다는 사실을 배웠다"며 "이에 중국은 더욱 신중한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디지털 위안화의 국제화 우려에 대해서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 위안화 사용을 강요할 수 없다. 사용 의사가 있는 기관들이 무역과 투자에 디지털 위안화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이 강대국 쇼비니즘(chauvinism·호전적 애국주의)라는 이미지를 탈피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가 실시간 결제와 환전 기능을 통해 상호연결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게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미 국경 간 결제에 알리페이, 위챗페이 같은 신용·전자결제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지만, 디지털 위안화는 실시간 처리 및 투명성 같은 추가 혜택을 더할 전망이다.
현재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시범 운영을 실행하는 단계에 와있다. 디지털화폐 부문에서 우위를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여러 국가들이 디지털 화폐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