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관세' 멕시코 "美와 계속 협상 중…합의 기대" "관세 위협, 북미 3국 무역협정 논의서 영향력 증대 목적" 분석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30% 관세 부과 예고에 대해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13일(현지시간) 멕시코 대통령실에서 제공하는 대통령 연설 속기록을 보면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소노라주(州) 과이마스에서 열린 공공병원 개원식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주요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면서 멕시코에도 30%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다"며 "서한에는 명확히 합의를 추구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멕시코 대통령은 "저는 항상 이런 경우에 차분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언급해 왔다"며 "이번 경우에도 미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것과 협력할 수 없는 것을 명확히 전달하면서 협상을 통해 합의에 이를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 11일 경제부·외교부·재무부·보안부·에너지부 대표단이 미국 국무부·상무부·에너지부·무역대표부 카운터파트와 만나 발 빠르게 논의를 진행했다고 부연했다. 좌파 민족주의 성향의 셰인바움 대통령은 "주권 침해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미국 정부의 관세 위협에 때론 보복 관세 부과를 암시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큰 틀에선 미국 측 요구를 일부 수용해 주며 충격파를 최소화하는 실용주의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 정부는 "만약 (마약 등을 미국으로 반입하는) 카르텔에 맞서고 마약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는 데 성공한다면 관세는 조정될 수 있다"고 밝힌 트럼프의 '8월 1일 관세 부과 예고' 서한 내용을 고려해 북부 국경 지대에서의 추가 보안 강화 조처에 나설 전망이라고 현지 방송 에네마스(N+)는 보도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올해 초 중남부 지역 국가방위대원 1만여명을 미국과의 국경 도시들 주변으로 이동 배치하는 한편 멕시코 영공 내 미 정보당국의 무인비행장치(드론) 진입을 허용한 바 있다. 멕시코와 캐나다를 향한 트럼프의 관세 서한은 다른 나라에 대한 것과는 조금 성격이 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올 하반기 개시될 것으로 예고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이행사항 재검토 등 일련의 논의 과정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포석 목적이 다분하다는 취지다. 과거 북미 무역협정(NAFTA) 멕시코 측 협상단 일원이었던 호르헤 몰리나는 현지 일간 엘우니베르살에 "북미 3국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심지어 파탄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경고"라며 "미국은, 멕시코와 캐나다가 그간 마약 밀매 통제를 위해 기울인 노력을 무효로 돌리는데, 이를 보면 당장 미국의 새 요구 사항이 충족되더라도 위협은 다시 시작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