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공격에 미국 대신 '새 절친' 찾는 아시아 인도, 브라질과 무역 70% 증가키로 합의…인도네시아, EU와 FTA 협상 가속 "미국 만족시키기 어려워 다른 국가들과 협력 움직임 강해져"
아시아 국가들이 기존의 수출 시장이었던 미국을 대체할 새 시장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무역 전쟁을 선포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미국 제품 구매와 각종 제도 개선을 약속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관세 위협이 계속되는 만큼 불가피한 자구책이라는 것이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지난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외부 압력 속에서는 내부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며 "우리끼리 무역을 하고, 상호 투자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인도는 브라질과 양국 간 무역을 70% 증가시키기로 합의했고, 인도네시아는 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 진전을 위한 정치적 합의에 도달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과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기존에 특사를 보내기로 한 국가들 외에도 호주와 독일에 특사를 파견키로 한 것도 새 시장을 찾기 위한 시도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베트남은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정을 통해 대미수출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미국의 요구를 만족시키기가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과 협력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교역 상대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안을 찾는 사례는 과거에도 적지 않았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시절 무역 갈등이 발생하자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줄이고, 브라질산 대두로 공백을 메웠다. 현재 브라질은 중국의 주요 대두 공급국 자리에 올랐다. 한국은 지난 2017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중국이 보복에 나서자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을 강화했다. 다만 미국의 대안을 찾으려는 아시아 국가들의 노력은 현재까진 개별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세에 직면한 국가들이 집단적인 대응을 모색할 경우 더 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각국은 자국에 유리한 대우를 얻기 위해 개별적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을 받았던 브릭스(BRICS)조차도 최근 리우데자네이루 정상회의에서 미국 관세에 공동 대응하는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 다만 미국의 관세 위협으로 인한 불안정이 계속된다면 집단적인 대응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호주 멜버른대 아시아연구소의 알렉산더 하인드 교수는 "미국은 스스로 구축한 무역 시스템을 빠르게 해체하려고 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놀란 상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