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국가비상사태’ 선포에 암호화폐 급락…'극단적 공포' 속 저가 매수 유입되나
4월 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면적인 관세 부과와 함께 ‘국가비상사태(National Emergency)’를 선포하자, 암호화폐 시장은 강한 하락세를 보이며 일시적 패닉에 빠졌다. 시장은 불확실성이 해소되자 잠시 상승했으나, 전체 관세 내용이 알려지며 전면 매도로 전환됐다.
트럼프는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 연설에서 4월 5일부터 모든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하며, 중국(34%), 유럽연합(20%), 일본(24%) 등 주요 교역국에 추가 보복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BTC)은 장중 최고가 88,500달러에서 82,876달러까지 하락했고, 이더리움(ETH)은 6% 급락하며 1,797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암호화폐 시총은 5.3% 감소한 2조 7,000억 달러까지 내려갔다.
암호화폐 공포·탐욕 지수(Crypto Fear & Greed Index)는 이날 25포인트,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구간으로 진입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이와 함께 S&P500도 2조 달러 이상 증발,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모두가 관세 쇼크에 동반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전했다.
BTC 마켓 소속 애널리스트 레이첼 루카스(Rachael Lucas)는 “관세 발표 직후 거래량이 46% 급등하며 대형 투자자들은 급등 구간에서 차익 실현에 나섰고, 소형 투자자들은 매수를 망설였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과 EU가 강경 대응에 나설 경우, 또 한 번의 매도 압력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21셰어스(21Shares)의 디지털 자산 전문가는 “예상보다 높은 관세였지만, 그만큼 정책에 대한 명확성이 시장에 제공되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시장은 불확실성보다 명확성을 선호한다. 이제 기관 투자자들이 저평가된 시세에 다시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멕시코,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강도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단기적 불안은 지속되겠지만, 명확한 정책 틀 자체는 장기적으론 긍정적이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