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상승이 미국 국채(Treasuries)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정책이 이 흐름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4월 2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베테랑 거시 투자자 루크 그로먼(Luke Gromen)은 최근 영상 업데이트를 통해 비트코인이 미국 정부의 재정 안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령'과 T-빌(Treasury bills)을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하는 구상이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로먼은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수록 스테이블코인 수요가 증가하고, 이는 다시 미 국채 수요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정부는 재정 건전성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이 이를 돕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구조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현재 테더(Tether)는 94억 4,700만 달러어치의 미국 국채를 보유해 USDT를 1:1로 담보하고 있으며, 서클(Circle)도 USDC 담보를 위해 220억 4,700만 달러 상당의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대규모로 국채를 매입하는 구조는 비트코인 시장과 미국 재정 시장을 연결하는 핵심 고리가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의회에서는 STABLE 법안(2025)과 GENIUS 법안(2025) 등 두 건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이 진행 중이다. 이 법안들은 발행사들에게 T-빌과 기타 실물 자산에 투자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어 국채 수요 확대가 제도적으로도 뒷받침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로먼은 이 같은 흐름이 본격화될 경우,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미국 재정 시스템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비트코인이 글로벌 금융 질서 재편의 중심에 설 수 있다는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