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G7, 우크라 지원·러시아 압박에 한뜻…트럼프 관세 비판은 빠져(종합)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05/23 [14:00]

G7, 우크라 지원·러시아 압박에 한뜻…트럼프 관세 비판은 빠져(종합)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05/23 [14:00]

G7, 우크라 지원·러시아 압박에 한뜻…트럼프 관세 비판은 빠져(종합)

 

"트럼프 자극 않으려 신중"…중국 겨냥 '비시장정책' 대응 합의

 

"북한 가상자산 탈취 전례없는 수준, 심각 우려" 대처 필요성도 포함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러시아에 맞서 우크라이나를 지지한다는 의사를 22일(현지시간)재확인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에는 신중했고, 중국을 겨냥해 무역 불균형을 초래하는 비시장 정책과 관행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G7 재무장관들은 지난 20일부터 캐나다 밴프에서 진행된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지 의사를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공동성명에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계속되는 잔인한 전쟁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 국민과 경제의 회복력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G7은 우크라이나의 영토보전과 생존권, 자유, 주권,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독립을 변함없이 지지한다"고 밝혔다.

 

평화 진전이 없으면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할 수 있다는 경고도 담았다.

 

우크라이나 경제 재건 등을 위한 지원은 계속하고 배럴당 60달러로 제한된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선을 50달러까지 더 낮추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상한선에 대한 최종 합의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공동성명이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미국의 달라진 시각 속에 나온 성과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공동성명에 담긴 러시아에 대한 표현이 1년 전보다 비교적 완화됐다고 분석했다.

 

G7은 1년 전 공동성명에서는 러시아에 대해 "불법적이고 정당화할 수 없으며 도발적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면 침공"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열렸지만 이와 관련한 직접적인 비판은 공동성명에 담기지 않았다.

 

공동성명은 대신 "국제기구들은 지난 회의에서 무역 및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이 높고 글로벌 성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며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이 정점을 찍고 감소했음을 인정하며 더 많은 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NYT는 이와 관련해 미국 관세가 세계 경제에 큰 위협이 되고 있지만 G7 참석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을 더 이상 자극하지 않기 위해 표현에 신중을 기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공동성명에는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행위에 대한 우려와 대응 필요성에 대한 문구도 담겼다.

 

성명은 "북한 등에 의한 가상자산 탈취와 사기행위가 전례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이런 위협과 더불어 범죄자들이 자금을 세탁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고 대처해나가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는 인식을 제고하고 예방을 강화하며 자금세탁을 줄이는 데 필수적이며 역내 가상자산 이용자를 보호하는 데도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가상자산과 관련한 새로운 위험을 연구하고 필요한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중국을 겨냥해 무역 관행에 대응하자는 합의도 이뤄졌다. 다만 공동성명에서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다.

 

공동성명은 자유무역에 대한 전통적인 옹호 입장은 담지 않은 대신 G7 회원국들이 글로벌 무역 불균형에 기여하는 '비시장 정책과 관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비시장 정책'은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무역에서 이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해온 중국의 수출 보조금과 통화정책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