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글로벌 車시장 1분기 4.6%↑…中 기여 커, 美관세는 하방 위험"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05/26 [07:00]

"글로벌 車시장 1분기 4.6%↑…中 기여 커, 美관세는 하방 위험"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05/26 [07:00]

"글로벌 車시장 1분기 4.6%↑…中 기여 커, 美관세는 하방 위험"

 

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한국은 2.6% 증가한 38만8천대

 

 

지난 1분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 남은 기간 미국의 관세 정책이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호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최근 자동차 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59개국)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2천217만4천대로 집계됐다.

 

중국이 11.1% 증가한 746만7천대로 1위 시장에 올랐고 미국(402만6천대·3.3%↑), 인도(143만5천대·2.2%↑), 일본(128만3천대·13.6%↑)이 2∼4위를 차지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세계 자동차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과거 성장 경로로의 복귀가 기대되는 상황"이라면서 "주로 중국, 미국에서 기인한 것인데 특히 중국은 1분기 판매량 증가분 중 75%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올해) 남은 기간에는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로 하방 리스크가 있다"면서 "글로벌데이터는 보호주의 정책 기조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연간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1분기 2.6% 증가한 38만8천대가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연간 판매량이 6.4% 감소했던 것을 고려하면 긍정적인 실적 전환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국내 주요 기관들은 내수 경기 침체로 이연됐던 소비가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 연장, 노후 자동차 교체 지원 등 정책 지원으로 자극된 결과로 해석한다"면서도 "연구원의 자체 전망에서 (국내) 판매량은 4월 이후 부진할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업체별로 현대차그룹은 1분기 0.3% 감소한 163만대를 판매하며 도요타(241만3천대), 폭스바겐(204만5천대)에 이은 3위를 유지했다.

 

중국계 업체는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7위(BYD·110만2천대)와 10위(지리·96만8천대)에 이름을 올렸다.

 

BYD의 중국 내 판매량은 100만대, 중국 외 판매량은 10만1천대였다. 지리는 각각 78만2천대, 18만6천대를 기록했다.

 

 

1분기 글로벌 친환경 차 시장은 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BEV는 38.5% 증가한 280만9천대, PHEV는 27.3% 늘어난 140만3천대가 판매됐다. 하이브리드차(HEV)는 18.4% 증가한 272만1천대가 팔렸다.

 

중국은 BEV와 PHEV 시장에서 각각 60.6%, 76.1%를 점유했고 HEV 시장은 비교적 국가별 집중도가 낮았다.

 

현대차그룹은 HEV 판매량에서 도요타(99만8천대), 르노·닛산·미쓰비시(29만3천대)에 이어 3위(24만7천대)를 차지했고, 기아 EV3는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 BEV 판매량 4위(2만6천대)에 올랐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최근 수년간 BEV 판매량 성장이 둔화하면서 전기차 캐즘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1분기 전기차 성장률이 크게 개선되면서 회복 기대감이 고조된다"고 분석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