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인은 아니라는데…"연준 의장에 베선트" 떠보는 트럼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차기 의장으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이름이 꾸준하게 언급되고 있다. 본인은 재무장관 직에 전념하겠다면서 연준 의장 자리를 고사했지만, 인사권자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후보군에서 베선트 장관의 이름을 제외하지 않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본 방문 중 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서 베선트 장관에 대해 "연준 의장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베선트 장관의 업무 능력과 관련해 "금융시장을 진정시키는 능력이 있다"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상호관세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각종 정책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때마다 베선트 장관이 나서서 정리하는 모습에 감탄했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베선트는 재무부 일을 좋아해서 연준 업무를 맡지 않을 것"이라고 한 발 빼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사실 베선트를 연준 의장으로 진지하게 고려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베선트 장관은 재무부 장관을 계속하고 싶다는 입장을 밝힌 뒤에 차기 의장 후보를 검증 업무를 맡고 있다. 현재 연준 의장 후보군에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미셸 보먼 연준 이사(은행 감독 부의장 겸임),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채권 부문 최고투자책임자(CIO) 등 5명이 올라가 있다. 현직 연준 이사인 월러와 보먼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지명한 인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말 추수감사절과 12월 크리스마스 사이에 내년 봄 임기가 끝나는 제롬 파월 의장의 후임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월 의장의 퇴임 후에는 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통제권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계 금융경제의 주춧돌 역할을 하는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경제적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이유로 기준금리 인하에 적극적이지 않은 연준에 대해 '금리를 1% 수준으로 낮추라'고 압박하고 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대로 금리가 인하된다면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정책 신뢰도 하락 탓에 경제 운영이 훨씬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