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작년 美 암호화폐 사기피해 중간값 325만원…종목은 비트코인·테더·이더리움 順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06/04 [09:29]

작년 美 암호화폐 사기피해 중간값 325만원…종목은 비트코인·테더·이더리움 順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06/04 [09:29]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는 3일(현지시간) 발행한 소비자 보호 보고서에서 작년 한해 미국에서 암호화폐 사기로 돈을 날린 사람들의 손실액 중간값은 2천600달러(약 325만원)라고 밝혔다. 

 

이런 손실액은 2018년과 견줘 거의 60배에 달하는 것이다. 

 

FTC가 집계한 사기 피해액은 피해자들이 FTC에 신고한 사기 사건 가운데 지불 수단이 암호화폐였던 경우를 합산한 것이다. 

 

연간 암호화폐 사기 피해액을 보면 2018년에는 1천200만달러(약 150억원), 2019년에는 3천300만달러(약 413억원) 등 수백억원대에 머물다가 2020년에는 1억3천만달러(1천627억원)로 뛰더니 2021년에는 6억8천만달러(약 8천512억원)로 수직 상승했다. 

 

올해에는 1분기까지 신고된 피해액만 이미 3억2천900만달러(약 4천119억원)에 달했다. 

 

또 작년 1월 이후 미국에서 가상화폐 사기로 10억달러(약 1조2천500억원) 이상을 날린 사람만 4만6천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기범들에게 지불 수단으로 이용된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인 경우가 70%로 가장 많았고 이어 테더(10%), 이더리움(9%) 순이었다.

 

또 지난해 암호화폐 사기에 당했다고 신고한 사람의 거의 절반은 소셜미디어에서 받은 메시지가 발단이 됐다고 밝혔는데 이를 소셜미디어별로 보면 인스타그램이 32%, 페이스북이 26%, 왓츠앱이 9%, 텔레그램이 7%였다.

 

피해자들을 연령대별로 보면 나이 든 사람들에 비해 20∼49세의 젊은 층이 암호화폐 사기에 당할 확률이 3배 이상 높았다고 FTC는 밝혔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