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現 암호화폐 침체기, 일반적인 수준이다?..."암호화폐 추가 매입 준비 중"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2/06/15 [17:26]

現 암호화폐 침체기, 일반적인 수준이다?..."암호화폐 추가 매입 준비 중"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2/06/15 [17:26]

 

지금의 암호화폐 침체기는 일반적인 수준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15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 출신의 유명 매크로 투자자 라울 팔(Raoul Pal)은 본인 트위터를 통해 "5~10년 간격으로 60% 이상 급락은 일반적이다. 때문에 5년 EMA(지수이동평균)를 참고할 것을 권장한다. 비트코인은 일반적으로 이 임계점 아래에서 30일 이상 있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는 "주식 등 거시경제가 12~18개월 내 정상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한다. 다양한 지표를 고려할 때 우리는 매수 영역에 진입했으며, 바닥에 가까워졌음을 알 수 있다. 나는 암호화폐를 추가 매입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다음주부터 시작해 7월쯤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레버리지는 변동성 큰 자산의 적이다. 나는 암호화폐 레버리지를 추천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래티지 CEO 마이클 세일러는 "회사는 비트코인(BTC) 변동성을 예상하고 있었다"며 "역경을 이겨내고 BTC를 계속 보유할 것"이라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12만9918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하락장에서 큰 평가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마이클 세일러 CEO는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따른 마진콜 가능성에 대해 "마진콜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회사는 추가할 수 있는 더 많은 담보 자산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BTIG의 증시 애널리스트 역시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보유한 13만개 BTC 중 9만5000개는 부채가 아니다. 회사 자체로도 마진콜을 해결할 수 있는 추가 담보를 마련할 수 있는 상황"이라 진단했다.

 

한편, 폴리곤(MATIC) 공동 개발자 산딥 네일왈(Sandeep Nailwal)은 트위터를 통해 "현재의 암호화폐 약세장은 웹3의 근본적인 약점 때문이 아닌 거시적인 요인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폴리곤과 같은 (암호화폐)프로젝트들은 2~3년 동안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연준이 금리를 50~70BP 2~3차례 인상하고 나면 3~6개월 안에 대규모 투자자들이 다시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되고, 시장은 정상적으로 돌아울 것. 다만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투자를 위해 과도한 암호화폐 보유는 추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