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이더리움클래식(ETC) 프로토콜 개발을 지원하는 비영리재단 이더리움 클래식 협동조합(ECC)이 이더리움 PoW 버전 체인을 지원하는 하드포크를 제안한 중국 채굴자 챈들러 궈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이 하드포크는 ETH와 ETC 분할 만큼 간단하지 않다"면서 전했다.
ECC는 "이더리움 클라이언트를 모두 하드포크해야 하며 각 코드베이스의 PoS 전환 로직 제거 및 난이도 폭탄 비활성화 등 과정에 복잡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갑 제공업체 및 거래소와도 협력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은 매우 어려우며 시간도 오래 걸린다. 하드포크는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며 이 계획을 철회할 시간은 남아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챈들러 궈가 최근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이슈 관련 커뮤니티에서 PoW 기반 ETH를 하드포크해야한다는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반면 AAVE 커뮤니티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더리움 머지 이후에도 시스템은 큰 변동 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것"이라 밝혔다.
AAVE는 이더리움 머지에 대한 기술적 분석 보고서를 통해 "머지는 AAVE 입장에서 그레이 글레이셔(Gray Glacier)와 유사한 업데이트일 뿐"이라며 "리퀴디티 프로토콜(liquidity protocol)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이어 "기술적으로 이더리움 머지는 온체인 거버넌스 매커니즘의 지속시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약간의 변동이 생길 수 있다"며 "AAVE는 PoS 체인을 기본 체인으로 인식할 것이다. 사용자가 다른 포크 체인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관련 책임은 본인이 지게된다"고 전했다.
한편, 12만명 이상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크립토 인플루언서 알리스테어 밀네(Alistair Milne) 알타나 디지털 커런시 펀드(Altana Digital Currency Fund) CIO는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이후 2개의 체인으로 쪼개질 것이며, 새로 하드포크된 ETHw 토큰은 ETH2(PoS 체인 토큰)의 최대 9%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XRP의 시가총액과 비슷한 수준이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