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미국 '스마트폰 25% 관세'에 중국 공습까지…고민 깊어지는 삼성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05/27 [10:00]

미국 '스마트폰 25% 관세'에 중국 공습까지…고민 깊어지는 삼성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05/27 [10:00]

미국 '스마트폰 25% 관세'에 중국 공습까지…고민 깊어지는 삼성

 

美 시장서 갤럭시 가격 인상 불가피…국내 스마트폰 가격 인상 가능성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 아이폰뿐 아니라 삼성 갤럭시 등 해외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삼성전자[005930]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관세로 인해 미국에서 스마트폰 가격을 인상하면 현지 시장 점유율이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데다, 점유율 방어를 위해 한국에서도 가격을 인상하면 최근 국내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중국 샤오미 등에 점유율을 일부 내어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27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의 관세 부과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스마트폰 판매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애플뿐 아니라 삼성 스마트폰에도 내달 말부터 관세를 부과할 의향을 내비친 데 따른 것이다.

 

그는 관세 부과가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을 부추겨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입품 가격을 올려 자국 생산품의 판매를 도모할 것이라는 계산 하에 관련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이 미국에 들어올 때 최대 14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지난달 그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PC 등 IT 기기를 제외했다.

 

이에 IT업계가 가슴을 쓸어내린지 얼마 지나지 않아 25%의 품목별 관세라는 또 다른 벽에 부딪히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 입장이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 생산량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한다고 알려졌다. 인도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 말대로 미국으로 생산거점을 옮기려면 애플의 경우 전체 공급망의 10%를 미국으로 이전하는 데만 약 300억 달러와 3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또한 인건비 등 문제로 인해 미국 내 생산은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현실적으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가격 인상뿐이다.

 

업계는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삼성전자가 미국 내 스마트폰 가격을 30~40% 올릴 것으로 전망한다.

 

애플은 중국 생산 제품의 경우 현재보다 약 60%, 인도 생산 제품은 약 40% 비싸질 것이라는 업계 분석이 나온다.

 

이는 삼성이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미국 시장에서 애플과 격차를 줄이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21.3%, 애플의 점유율은 59.7% 정도인데 이를 좁히는 데 지장이 생기는 것이다.

 

7월 공개 예정인 폴더블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Z 플립7·폴드7'의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점유율을 방어하기 위해 한국 시장에서도 스마트폰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점쳐진다.

 

미국에서만 가격을 대폭 올리면 점유율이 떨어지니 미국에서 가격을 덜 올리고 한국 등 그밖의 국가에서도 조금씩 가격을 올려 이를 상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도 가격을 올리면 '왜 한국에서도 가격을 올리냐'는 국내 소비자 불만에 직면할 것"이라며 "한국 소비자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상륙한 점도 걸림돌이다.

 

샤오미는 연초에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공식 온라인몰을 오픈하면서 국내 진출을 본격화했다.

 

신규 스마트폰 출시 후 한국 시장에 선보이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도 대폭 단축했다.

 

이 업계 관계자는 "한국 소비자가 삼성의 가격 인상에 불만을 품은 사이 중국 스마트폰이 활개를 치면 삼성 입장에서는 난감한 상황이 될 것"이라며 "삼성의 고민이 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