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썬더코어(ThunderCore), 리브랜딩 계획 발표…”혁신적인 웹3.0 이끌어 갈것”

이선영 기자 | 기사입력 2022/04/22 [15:52]

썬더코어(ThunderCore), 리브랜딩 계획 발표…”혁신적인 웹3.0 이끌어 갈것”

이선영 기자 | 입력 : 2022/04/22 [15:52]

 

썬더코어(ThunderCore)가 2022년 1분기 동안 이룩한 발전을 축하하기 위해 상징적인 브랜드 리브랜딩 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 1분기에는 게임파이(GameFi), 소셜파이(SocialFi) 및 메타버스(Metaverse) 혁신을 통해 Web 2.0 세계, 특히 모바일 엔터테인먼트를 Web 3.0에 도입하려는 과정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새로운 로고를 통해 시각적 정체성을 새롭게 하여 변화를 꾀하겠다는 목적이다. 

 

2019년 출시된 썬더코어 메인넷은 1세대 EVM 호환 퍼블릭 블록체인으로서 선도적인 개념으로 EVM 호환성을 완전히 수용한 최초의 제품 중 하나다. 덕분에 Metamask, Truffle, Remix 등을 포함하여 기존의 거의 모든 이더리움 도구가 직접 작동하고, 모든 DApp이 노력 없이 쉽게 썬더코어에 포팅될 수 있다.

 

또한 썬더코어는 확장성, 보안성, 탈중앙화 3가지 중 하나를 반드시 희생해야 한다는 이른바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춘 고성능 개방형 블록체인이다.

 

썬더코어 네트워크는 혁신적인 PaLa 컨센서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초당 4000회 이상의 트랜잭션 속도, 1초 미만의 확인 시간 및 1센트 미만의 가스 비용을 실현한다. 이 모든 것은 확장성, 분산화, 보안이란 목표에 도움이 된다.

 

그동안 썬더코드는 다중 브리지, 분산형 거래소, 스테이블코인 거래소, 오라클, NFT 마켓플레이스, 다중서명 지갑, 게임파이 및 신용시장 등을 포함하여 보안 문제 없이 매우 활기찬 생태계를 구축했다.

 

2022년에 이룩한 주요 성과로는 ▲썬더코어 허브의 월간 활성사용자(MAU) 40만명 돌파 ▲190개국 이상 해외 사용자에게 서비스 시작 ▲9700만개 이상의 블록 높이 달성 ▲총 3억2600만개 이상의 트랜잭션 달성 ▲사용자수 측면에서 DappRadar의 상위 10개 개방형 블록체인 진입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메인넷을 위한 Iris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도 개시됐다. 신규 업그레이드를 통해 아발란체, 이더리움, 폴리곤, BSC와 같은 체인에서 DApp을 포팅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다. 이는 EVM 호환 블록체인이 이더리움의 Solidity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상호 운용성 면에서 완전히 최신임을 보장한다.

 

Iris Fork, 전체 EVM 호환, 썬더코어 런치패드, 1000만달러 규모의 개발자 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자들은 DAPP를 성장 중인 썬더코어 에코시스템에서 개발하거나 포팅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워졌다. 해당 에코시스템에서 DAPP는 절대적인 최상위 계층으로 도약할 준비가 된 블록체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암호화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에 도달했습니다.

 

암호화 생태계에는 사용자 획득이 무의미한 숫자들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썬더코어 허브의 MAU가 50만명에 달하는 만큼 썬더코어는 이제 솔라나, 아발란체, 트론 등과 같은 유명 블록체인 경쟁업체보다 더 많은 활성 지갑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자체 플랫폼 토큰 ThunderCore(TT)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썬더코어는 새해를 맞아 "ThunderCore Blue"란 색상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는 Web3.0으로 이동하는 사용자를 위한 열린 공간과 자유를 나타내는 현대적 색상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썬더코어 관계자는 "개발자들에게 있어 'ThunderCore Blue'란 색상은 무한한 상상력을 의미한다. 마치 맑은 날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바라볼 때의 느낌처럼 말이죠. 두 가지 파란색 음영 사이의 기울기는 Web2에서 Web3로의 개발 및 사용자 채택의 원활한 흐름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다"고 전했다.

 

한편, 썬더코어의 사명은 Web3로 전환하려는 Web2 개발자들에게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툴을 제공한다. 

 

특히, Web2 개발자가 단 몇 분 만에 Web3 DApp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ThunderGene API 툴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갑의 생성과 유지, 토큰과 NFT의 발행과 이전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가 API 문서를 통해 직접 DApp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