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시간) 코인게이프는 렉트 캐피탈을 인용해 "200주 이동평균선 아래 마감은 2020년 3월에 이어 사상 두번째다. 강세 모멘텀을 회복하려면 200주 이동평균을 지지선으로 되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최근 2만달러선 부근에서 관찰된 지지선은 잠재적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확실한 강세 신호가 없는 현재 2만1000달러 부근 저항의 영향으로 1만6000달러까지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애널리스트 카포(Capo)는 "비트코인이 여전히 이전 저항인 3만1000~3만2000달러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다. 타깃 가격은 1만6000~1만6250달러가 될 수 있다"면서 "3만1000~3만2000달러가 붕괴된 후 저항 구간이 됐으며, 2만~2만1000달러 또한 마찬가지"라고 분석했다.
특히, 유로퍼시픽캐피털 수석 경제학자 피터 시프는 "2만달러 회복은 또 다른 '불트랩(박스권 상단 고점에서 강세장이 약세장으로 변하는 지점)'이다. 약세장 바닥을 나타내는 카피츌레이션(대량 매도) 징후가 아직 없었다"고 진단했다.
한편, 미국 비트코인 채굴기업 마라톤 디지털(Marathon Digital)의 찰리 슈마허(Charlie Schumacher) 기업 커뮤니케이션 부사장은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트코인의 가치를 믿는다면 채굴을 계속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는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수익을 낼 수 있는 채굴자는 줄어든다.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채굴자들의 이탈로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는 낮아질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그때까지 버티고 비트코인 채굴을 지속할 수 있는 플레이어는 더 많은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우리는 비트코인 채굴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전력)을 고정적으로 지출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시장의 변화에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