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디크립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금융 시스템과 독립된 자산’이라는 기존 서사와 달리 최근에는 기술주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복 관세 정책 발표 이후 미국 증시와 함께 BTC가 동반 하락하면서 더욱 부각되었다. 지난 3일 다우존스(-3.98%), S&P 500(-4.84%), 나스닥(-5.97%)과 함께 비트코인도 5.5% 하락해 82,000달러선 아래로 밀려났다.
디지털 자산 분석사 앰버데이터(Amberdata)의 리서치 책임자 마이크 마셜(Mike Marshall)은, 2024년 초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기관 자금 유입이 가속되며 BTC의 시장 민감성이 증시와 유사해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기관들은 BTC를 기술주처럼 취급하고 있으며, 금리·인플레이션·연준 발언 등에 연동된 리스크 자산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ETF 분석기관 블룸버그의 에릭 발츄너스(Eric Balchunas)도 “비트코인은 아직 성숙하지 않은 자산이기에,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이유로 기술주처럼 반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흐름은 비트코인이 설계 초기부터 표방해온 ‘달러로부터 독립된 탈중앙화 가치 저장 수단’이라는 정체성과 충돌한다. 이에 대해 바스툴 스포츠 창립자 데이브 포트노이(Dave Portnoy)는 “비트코인이 주식시장과 똑같이 움직이는 게 말이 되느냐”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반면 스완비트코인(Swan Bitcoin) CEO 코리 클립스텐(Cory Klippsten)은 “지금의 가격 흐름은 단기적 소음일 뿐”이라며 “비트코인은 궁극적으로 피아트(법정화폐) 시스템을 대체할 ‘가장 단단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