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텍사스주 증권위원회(TSSB) 관계자에 따르면 텍사스·앨라배마·켄터키·뉴저지·워싱턴주가 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다수의 개인투자자를 포함한 고객들이 예치한 자산에 즉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도 계좌에서 인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이) 중대한 금융상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TSSB가 13일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를 우선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주요 암호화폐 로비그룹인 워싱턴 소재 디지털 상공회의소(Chamber of Digital Commerce) 최고경영자(CEO)인 페리안 보링(Perianne Boring)은 셀시우스 네트워크의 출금 일시 중단 사태가 미국 규제 압력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사태는 금융 당국의 규제 명확성 부족이 가져온 결과다. 이를 통해 업계에 더욱 명확한 규제가 구축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앨러배마 증권위 관계자도 조사 착수 사실을 확인하면서, 셀시어스 측이 당국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미국 연방정부 기관인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셀시어스와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SEC와 다른 주 정부들은 사실 확인 요구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셀시어스는 최근의 암호화폐 가격 폭락 흐름 속에 12일 "극한의 시장 상황 때문에 계좌 간 모든 인출·스와프·이체 거래를 중단한다"고 밝혔고, 언제 인출 서비스를 재개할지 언급하지 않은 상태다.
셀시어스는 그동안 암호화폐를 예치할 경우 많게는 18%대의 이자를 지급하겠다며 170만명의 예금자를 끌어모았다.
예치금으로 디파이 등 암호화폐 시장에 투자해 수익을 내겠다고 선전했지만, 신규 유입자가 계속 유입돼야 유지되는 폰지사기 구조라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지난달 한국산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UST)와 자매코인 루나(LUNC) 역시 20%에 가까운 이자율을 내세워 투자자들을 끌어모으다가 코인 가치가 폭락하며 실패했는데, 이와 비슷한 구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셀시어스의 보유 자산은 지난해 10월 250억달러(약 32조원)에 이르렀지만, 최근 암호화폐 가격 폭락 여파로 지난달에는 118억달러(약 15조원)로 줄어든 상태였다.
앞서 작년 9월에는 텍사스·켄터키·뉴저지주 당국이 셀시어스의 이자 지급 상품을 유가증권으로 동록해야 한다며 영업 정지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한편 구독자 145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비트보이 크립토(BitBoy Crypto)의 설립자 벤 암스트롱(Ben Armstrong)은 16일 트위터를 통해 최근 이체, 스왑, 출금을 일시 중단한 셀시우스에 대해 집단 소송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그는 "셀시우스는 부채를 상환하기에 이미 충분한 자금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우리 계좌에서 돈을 사용할 수 없고 셀시우스는 오히려 더 많은 돈을 보내도록 요구하는데 이는 사실상 스캠이다. 그들은 시장의 두려움을 이용해 주머니를 채우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셀시우스에 대한 공개 문서나 대출 관련 세부 정보 등을 정리하고 변호사와 논의하며 집단 소송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셀시우스가 파산을 신청하더라도 집단 소송을 이어갈 수 있는 몇 가지 해결 방법을 발견했지만, 아직은 공개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Crypto & Blockchain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