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국내 수출기업들 "美관세로 수출 4.9%·영업익 6.3% 감소할 듯"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05/26 [07:00]

국내 수출기업들 "美관세로 수출 4.9%·영업익 6.3% 감소할 듯"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05/26 [07:00]

국내 수출기업들 "美관세로 수출 4.9%·영업익 6.3% 감소할 듯"

 

한경협 설문조사…응답 기업 81% "한미 기업 모두에 부정적"

 

 

 

국내 수출기업들이 올해 미국 관세로 인한 실적 악화를 우려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26일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150개 사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지속하면 올해 수출액이 작년보다 4.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각 사의 전망치를 산술 평균 낸 값이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석유제품(7.2%↓), 일반기계(6.4%↓), 반도체(3.6%↓), 철강(2.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관세정책 지속 시 국내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6%, 6.3%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응답 기업 81.3%는 '미국의 관세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14.7%는 '한국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기업엔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로는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글로벌 경기 악화'(24.0%), '미국 수출 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이 꼽혔다.

 

실무적인 애로는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53.4%)이 과반을 차지했고 미국 통관 절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정보(13.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대응 방안은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 강화(12.3%), 투자 연기·축소(7.6%) 순이었다.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 기간을 묻자 6개월∼1년(42.7%)이 가장 많이 나왔고 1∼2년(18.0%), 6개월 이내(16.0%), 3∼4년(12.0%), 2∼3년(11.3%) 순으로 꼽혔다.

 

 

정부의 대응 방안으로는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등이 제시됐다.

 

정부가 원활한 관세 협상을 위해 추진해야 할 대책으로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 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이 꼽혔다.

 

한편 기업들은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으로 전망했다.

 

환율 리스크 대응과 관련해선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기업경쟁력 강화(19.8%),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 확대(10.1%) 등이 나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국내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업비트X윤남노 셰프의 비트코인 피자
이전
1/4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