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영국, 암호화폐 규제 개편으로 글로벌 주도권 노릴까?

박소현 기자 | 기사입력 2025/07/13 [22:27]

영국, 암호화폐 규제 개편으로 글로벌 주도권 노릴까?

박소현 기자 | 입력 : 2025/07/13 [22:27]
영국 비트코인(BTC)

▲ 영국 비트코인(BTC)     ©

 

7월 13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CCN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마련 중인 암호화폐 규제 초안이 산업 전반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미니(Gemini) 영국 지사 대표 다니엘 슬러츠킨은 이번 개정안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환경”을 조성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슬러츠킨은 영국이 전통적으로 금융 강국이지만,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모호한 입장을 보여왔다고 지적했다. 규제가 명확하지 않고 과세, 마케팅 제한, 시장 접근성 등의 문제로 인해 혁신이 제한돼 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재무부가 발표한 암호자산 규제 관련 법안 초안(SI)은 스테이킹과 디파이(DeFi)까지 포괄하는 전향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영국은 '진정한 디파이(True DeFi)'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혁신 저해를 피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는 EU의 미카(MiCA) 규제와 대비되는 부분으로, 슬러츠킨은 “영국이 후발주자로서 유럽의 시행착오를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영국이 과도한 규제를 피하고 규정 간소화를 병행한다면, 스타트업과 Web3 프로젝트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는 기대도 제기됐다.

 

한편, 영국인의 암호화폐 보유 비율은 약 25%에 달하며, 이는 제미니 2025년 보고서 기준 조사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미국은 비트코인 전략 준비금 도입 등 제도권 채택에 속도를 내고 있는 데 비해, 영국은 현재로선 해당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 슬러츠킨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포트폴리오 편입을 검토 중이며, 블랙록과 피델리티도 1~5% 비중을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슬러츠킨은 FCA(금융감독청)와의 협업 경험을 토대로, 향후 영국이 ‘실험 샌드박스’ 확대와 실용적 가이던스를 통해 더 많은 글로벌 자본을 유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민첩하게 움직이고 산업의 목소리를 경청한다면, 영국이 글로벌 암호화폐 중심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IXO 2025] 안유화 원장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미국 국채 대안으로 부상"
이전
1/5
다음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