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C 2019의 공식 행사는 두나무 설립자 겸 개발자 송치형 의장의 오프닝 환영사 및 ‘블록체인, 서비스 시대를 열다’라는 기조 연설로 시작됐다.
송 의장은 "작년과 비교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있지만 △기존 제도권 금융권의 시장 진출, △국내외 주요 인터넷 플랫폼 강자의 블록체인 사업 전개, △제조 대기업, 유통사, 명품 회사들의 블록체인 서비스 도입 등은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좋은 신호"라면서 "향후 더 많은 개발자, 더 많은 기획자, 더 많은 AI 전문가, 더 많은 IoT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하고 협업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야 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듯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역시 AI, IoT 등과 협업해 하나의 거대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송치형 의장의 오프닝 기념 환영사에 이어, 헤더라 해시그래프 ‘리먼 베어드’ 공동 설립자 겸 수석과학자와 블록스트림 ‘샘슨 모우’ CSO는 기조연설 세션을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세계 블록체인 업계에서 저명한 두 연사는 ‘블록체인, 미래 혁신을 여는 기술’을 주제로 참가자들의 시선을 모았다. 또한, 비트코인의 등장으로 더 주목받게 된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 생활 곳곳에 서서히 녹아들고 있는 지금, 블록체인의 핵심인 보안성, 탈중앙성, 확장성의 문제는 과연 어디까지 해결되었는가에 주목했다.
헤더라 해시그래프 ‘리먼 베어드’ 공동 설립자 겸 수석과학자 – 분산원장기술의 확장성
리먼 베어드는 분산원장기술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신뢰성’을 꼽았다. 이를 위해 지배구조(거버넌스), 보안성, 유효성, 공정성, 투명성, 개인정보 보호(프라이버시)가 갖춰져야 하며 분산원장기술의 확장을 시도할 때는 항상 신뢰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분산원장기술의 여러 한계점들을 뛰어넘기 위한 해법도 제시했다. 하나의 메인넷을 통한 성능 향상, 샤딩, 사이드 레저, 컨센서스 서비스 등 다양한 방식의 장단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데이터를 여러 샤드에 중복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샤딩의 경우 원장의 성능과 신뢰도, 공정성을 높여주지만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취약하며, 사이드 레저는 성능과 공정성은 높으나 신뢰도와 프라이버시 보호는 부족한 부분이 존재한다.
한편 헤더라는 컨센서스 서비스뿐 아니라 암호화폐 서비스, 스마트 컨트랙트 서비스, 파일 서비스도 동일한 헤시그래프 컨센서스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성능, 신뢰도, 공정성, 프라이버시 보호 모두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헤더라 컨센서스의 가능한 적용 사례로는 스테이블 코인, 주식 시장, 오딧 로그 (Audit Log), 게임 등을 언급했다.
관객 질문을 답하는 과정에서는 분산원장기술는 이제 시작 단계로 인터넷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특히 IoT, AI 등 다른 첨단 기술과 결합되면 놀라운 혁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블록스트림 ‘샘슨 모우’ CSO – 비트코인과 레이어 2 기술의 발전
샘슨 모우는 업계의 차세대 참여자들을 위한 플랫폼 제공이 리퀴드 개발에 있어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라고 설명하며 기관, 전문 투자자, 기업, 중개 업체, 거래소 등 암호화폐 생태계의 다양한 참여자들이 리퀴드를 활용해 비트코인을 전송할 경우 정교한 자산 생성, 비공개 거래, 2분의 빠른 거래 정산 속도 등의 기능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물론, 미니스크립트(Miniscript), 심플리시티(Simplicity) 등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컨트랙트 개발로 크립토 금융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리퀴드의 대중화를 앞당길 서비스로는, 리퀴드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설정의 증권형 토큰을 발행 및 관리할 수 있는 ‘리퀴드 시큐리티스(Liquid Securities)’ 플랫폼과 리퀴드의 iOS와 안드로이드를 지원하는 ‘블록스트림 그린(Blockstream Green)’ 앱을 소개했다. 이어, 블록체인 분야에서는 서비스 개발에 앞서 비트코인과 같이 안정적이면서도 실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진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UDC 2019는 컨퍼런스 기간 중 이어지는 전문가 세션과 함께, 블록체인 디앱(DApp·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해 보는 ‘핸즈온’,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의 '루니버스'를 활용해 디앱을 개발하는 ‘해커톤’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운영으로 참가자들의 호응을 모을 전망이다. 컨퍼런스는 내일까지 이틀(4-5일) 간 진행된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Forum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