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무역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8월 1일 0시 1분까지 연장하면서,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에도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7월 7일(현지시간) 백악관 발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내린 행정명령을 수정해 기존 ‘7월 9일 0시 1분’까지였던 유예 기한을 3주가량 늦춘 것이다. 이번 연장 조치는 한국, 일본 등 14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국에 발송된 ‘관세 서한’을 통해 사전에 예고된 바 있다. 다만 중국은 이번 유예 대상에서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장의 이유에 대해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상 상황과 고위 당국자들의 권고를 반영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지난 5월 12일 스위스 제네바 회담에서 상호 고율 관세를 90일간 인하하기로 합의했으며, 이에 따라 중국은 기존의 별도 관세 중단 조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번 행정명령은 거시경제적으로는 무역 긴장을 다소 완화시키는 신호로 해석되지만, 암호화폐 시장에는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이 계속될 경우, 달러 패권 약화와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비트코인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8월 1일로 연장되면서, 그 직후 무역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될 경우 비트코인이 안전자산 대체 수단으로 급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형성되고 있다. 실제로 과거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될 때마다 비트코인 가격은 단기 급등세를 보인 바 있다.
반면, 관세 연장으로 단기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시장 전반의 위험선호 심리가 회복될 경우, 자산이 암호화폐보다 전통 금융시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이 경우 비트코인은 당분간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앞으로도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8월 1일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조치 여부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과 자금 흐름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