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사례는 엘살바도르다. 이 나라는 비트코인(BTC) 또는 테더(USDT)로 100만 달러를 기부하면 시민권을 부여하는 ‘프리덤 비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3BTC 투자 시 즉각적 영주권도 제공한다. 이 여권으로는 134개국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고, 2년 후엔 스페인 시민권 신청도 가능하다.
바누아투, 앤티가바부다, 세인트키츠네비스, 그레나다 등 일부 카리브 국가들도 암호화폐를 소득 출처 또는 투자 자금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공인 에이전트를 통해 BTC, ETH 등으로 간접 결제도 가능하다. 단, 자금의 출처와 합법성 증명이 필수이며, 강화된 신원 검증 절차가 요구된다.
포르투갈은 직접적인 암호화폐 결제는 허용하지 않지만, 5년 이상 유지되는 암호화폐 친화적 펀드에 50만 유로 이상 투자하면 ‘골든비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1년 이상 보유한 암호화폐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는 세제 혜택도 있어 장기 투자자에게 인기가 높다.
케이맨 제도는 공식적인 시민권-암호화폐 연계 프로그램은 없지만, 디지털 자산으로 부동산을 구매하면 거주 비자(Residency Certificate)를 받을 수 있는 고소득층 전용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이 지역은 블록체인 기업 유치와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에 적극적이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암호화폐를 공식 결제 수단으로 직접 허용하진 않지만, 제3자 대행을 통한 법정통화 전환과 자금 합법성 검증을 거치면 시민권 또는 거주권 신청 자격을 얻는 구조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디지털 자산의 글로벌 법적 지위 변화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