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Bitcoin, BTC)은 약 46만 3,000BTC로, 전체 공급량의 2.3%에 해당한다. 이는 단순 수치 이상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국부가 비트코인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뜻하며, 비트코인이 국가 자산 전략에 포함되는 추세를 반영한다.
7월 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비트코인 보유량 상위 국가로 자리 잡은 가운데, 조용한 방식으로 국부를 축적하는 국가들의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은 현재 약 20만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2025년 3월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을 설립하면서 압수된 자산을 국가 통제하에 두는 정책 전환을 단행했다.
중국은 2019년 플러스토큰(PlusToken) 사기 사건을 통해 약 19만BTC를 압수했으나, 이 자산의 현황은 불투명하다. 일부는 매각됐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상당량이 정부 콜드월렛에 보관 중이라는 분석도 존재한다. 국내 거래 및 채굴 금지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여전히 비트코인 지정학에서 주요 보유국으로 간주된다.
부탄은 수력 에너지를 활용해 자국 국부펀드인 드루크홀딩스(DHI)를 통해 비트코인을 직접 채굴해왔다. 2025년까지 누적 보유량은 약 1만 2,000~1만 3,000BTC로, GDP의 30~40% 수준으로 확인됐다. 중앙 통제 하에 100% 재생 에너지로 채굴한 이 전략은 소규모 국가의 비트코인 활용 사례 중 가장 독립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으로 평가된다.
이외에도 영국은 2021년 돈세탁 사건 수사로 압수한 6만 1,000BTC를 처분하지 않고 보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들 자산은 여전히 국가 차원의 전략적 준비금으로 공식화되지는 않았지만, 그 자체로 주요 보유국 대열에 올랐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전쟁 중 받은 기부금 성격의 70만 달러 상당 비트코인을 신속히 소진했으며, 엘살바도르는 6,000BTC 이상을 축적했으나 IMF의 압력으로 비트코인의 법정통화 지위를 철회했다.
한편 이란은 채굴 허가 업체들이 채굴한 비트코인을 중앙은행에 직접 납부하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제재 회피 및 수입 결제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활용하고 있다. 공개 지갑 없이 운영되는 이란의 전략은 비트코인을 법정 외환 대체 자산으로 전환하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