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국제통화기금)가 암호화 자산을 법정화폐로 인정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은 일이라 지적했다.
29일(현지시간) IMF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같은 민간 발행 암호화 자산에는 상당한 리스크가 따른다. 암호화 자산에 국가 통화와 동일한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은 지름길"이라 말했다.
그러면서 IMF 소속 Tobias Adrian, Rhoda Weeks-Brown이 작성한 '국가 통화로서의 암호자산? 너무 멀리 갔다(Cryptoassets as National Currency? A Step Too Far)'란 제목의 분석글을 공유했다.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지정할 경우 통화정책이 타격을 입어 결과적으로 물가가 매우 불안정해질 수 있고, 재정 건전성도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7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는 "현재의 달러와 무한한 평가절하는 현명하지 않은 지름길이며 훨씬 더 높은 리스크가 따른다"며 "비트코인을 국가 통화로 만드는 것은 1971년 금본위제 폐지 전 달러와 같다"고 반박했다.
앞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단테 모씨(Dante Mossi) 총재는 인터뷰를 통해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정화폐 채택 성공 여부에 모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미경제통합은행 총재는 "엘살바도르가 잘될지, 그리고 송금 수수료가 얼마나 낮아지는지에 모두 집중하고 있다"며 "은행 계좌 및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없고, 해외(미국)에 거주하는 친척이 송금하는 돈에 생활을 의존하는 사람의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BTC 법화 채택은 재정적 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세상에 다시 없을 실험(out of this world experiment)'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송금건이 많은 중미 국가들이 비트코인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 도입으로 송금 수수료가 낮아지면 이득을 볼 가장 대표적인 국가"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최신 글로벌 보고서를 통해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것은 4개 측면에서 잠재적 이점이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BTC, 시총 1위)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엘살바도르 정부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그 결정에도 상당한 이점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 도입을 통해 1. 송금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2. 금융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3.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4. 미국 기업 및 디지털 화폐 채굴자들에게 시장을 개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BOA는 "송금이 엘살바도르 국내 총생산의 24%라는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당한 거래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