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북한 정권의 미사일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는 IT 근로자 위장 취업 조직을 정조준하며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번 조치는 디지털 자산 절도와 미국인 사칭, 사이버 공격을 활용한 북한의 외화벌이 전략을 정면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7월 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북한 국적의 송금혁(Song Kum Hyok)과 러시아 국적의 가이크 아사트리얀(Gayk Asatryan), 그리고 러시아 소재 4개 기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송금혁은 미국 시민의 개인정보를 도용해 북한 IT 인력들에게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아사트리얀은 2024년부터 북한 무역회사와 장기 계약을 맺고 수십 명의 북한 IT 근로자들을 고용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OFAC는 이들이 미국 기업에 위장 취업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러시아와 중국을 거점으로 수천 명 규모의 IT 인력을 고용해 미국 등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취업 침투 작전을 벌이고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인 구직 플랫폼과 업계 특화 채널을 통해 활동 중이다.
이날 발표된 제재 조치에 따라 미국 내 이들과 관련된 자산은 전면 동결되며, 미국 내 모든 개인과 기관은 이들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이를 위반할 경우 민사 및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마이클 포큰더(Michael Faulkender) 재무부 부차관은 “북한 정권의 제재 회피 및 디지털 자산 탈취 시도를 차단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기존의 라자루스 그룹(Lazarus Group)을 통한 대규모 해킹 외에도 최근에는 ‘IT 근로자 위장 취업’이라는 보다 정교한 사기 전술로 전략을 다변화하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 기업 TRM랩스(TRM Labs)는 북한 연계 조직이 2025년 상반기 동안 전체 암호화폐 해킹 피해액 21억 달러 중 16억 달러에 책임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 법무부는 지난 6월 5일 북한 IT 근로자들이 위장 신분으로 암호화폐를 벌어들여 축적한 7억 7,40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압류하기 위한 법적 절차에 착수했다. 앞서 6월 30일에는 미국과 세르비아의 블록체인 기업에서 원격 근무자로 활동한 북한 국적자 4명이 사기와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코인리더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