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도, 관세 20% 이하로 낮추려 美와 협상…농업개방 이견 계속"

코인리더스 뉴스팀 | 기사입력 2025/07/13 [13:00]

"인도, 관세 20% 이하로 낮추려 美와 협상…농업개방 이견 계속"

코인리더스 뉴스팀 | 입력 : 2025/07/13 [13:00]

"인도, 관세 20% 이하로 낮추려 美와 협상…농업개방 이견 계속"

 

블룸버그 통신 "美, 관세 서한 보내기보단 잠정 합의 추진"

 

 

미국이 인도에는 새로운 상호관세 서한을 보내기보다는 잠정 무역 합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인도는 미국에 관세율을 20% 이하로 낮춰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두 나라의 관세 협상에 정통한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나란히 30%의 상호관세를 내달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인도에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공식 관세 요구 서한을 보내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두 나라가 조만간 공동 성명을 통해 잠정 무역 합의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관세율은 현재 인도가 통보받은 26%에서 20% 이하로 떨어지고, 관세율 조정 협상을 계속할 수 있다는 문구가 포함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두 나라가 이번 잠정 합의 후 오는 가을로 예정된 포괄적 무역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으로 넘어가려 한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과 무역 협상 합의에 도달한 국가는 영국과 베트남이다. 이 중 베트남은 미국과 관세율 20%에 합의했으며 인도는 이를 기준으로 베트남보다 유리한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의 농업 시장, 특히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시장 개방 요구에 인도가 난색을 보이며 이 쟁점에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며 조만간 인도 협상단이 다시 워싱턴DC를 방문해 협상을 진전시킬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며 지난해 인도는 미국을 상대로 457억 달러(약 63조원) 흑자를 냈다.

 

이처럼 대규모 흑자를 내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인도를 "무역에 있어 매우 큰 악당"이라 부르며 관세를 통해 불균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백악관을 찾아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이 때문에 인도가 미국과 가장 먼저 무역 협상을 끝낼 국가가 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지만, 농업 부문에서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합의도 늦어지고 있다.

 

 

 

 

 

 
이동
메인사진
포토뉴스
[IXO 2025] 안유화 원장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미국 국채 대안으로 부상"
이전
1/5
다음
광고